[학위논문] 평화학 기반의 통일교육 실천을 위한 비판적 실행연구
...가치관, 당위적 통일론, 사실 관계의 비확실성, 일회성 등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철학적ㆍ방법론적인 변화가 필요하고, 그 기저에 ‘평화학’이라는 학문적 토대가 요청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교육의 기반으로서 평화학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둘째, 정부 기관인 통일교육원의 ‘
찾아가는
학교
통일
교육’은 어떠한 의미와 한계점을 가지는가? 셋째, 평화학 기반의 통일교육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연구자의 교육 실천 현장에서 비판적 실행연구를 수행했다. 정부 주도의 통일교육 실천 현장에서 요구되는 사항은 첫째, 적대자상 해체, 둘째, ‘국가안보’에서 ‘인간안보’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