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천리마시대 속도와 '노인' 담론 (1) ― 『천리마』의 연재만화 <천리마 할아버지>를 중심으로
... 독서와 기악합주 등의 교양을 갖추고 청년돌격대 못지않은 기력과 기술력을 선보이며 천리마기수 전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변신한 것이다. 마침내 노인의 마을이 천리마 작업반으로 선정되어 표창을 받고 이후 천리마 할아버지는 체제정당성을 입증하고 수상 교시를 전파하는 전형성에 고착되며 주체시대를 맞이한다. 『천리마』의 노인 담론은 ‘
청산리방법’을 전후하여 농촌 노동력 부족과 정치훈련의 미숙이라는 현실적 문제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출현하였다. 마을과 가족 공동체 관계의 거점이자 리터러시 능력의 하한선으로 노인을 발견한 것은 사회주의 교양의 계몽이 과제였던 대중종합지로서의 본령에 의거한 선택이었다. 노인 담론의 개진 속에서 ‘천리마 할아버지’의 표상이 구축되는 과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