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트남 토지등록제도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통일 한국시대에 문제시 될 북한의 토지등록에 대한 사전적 준비를 위해 사회주의 국가의 토지등록 제도를 검토하여 북한에 적용 가능한 토지등록 모델을 구현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범위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공존하였던 국가중 베트남으로 한정하였으며 베트남 토지법을 적용하였다.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2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접근방법은 현지 인터뷰를 통한 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베트남 토지등록은 토지사용구상(planing) 및 계획(plan) 수립, 토지 배분 및 토지회수, 토지사용권의 등록, 토지가격의 결정 등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러나 토지등록제도의 문제점으로는 토지법과 토지에 관련된 법률이 서로 충돌되고 있었으며, 토지자원은 국가의 경제 사회발전을...
[학위논문] Configuring contractual carbon right by informed consent for DPRK forest communities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가난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 주민들이 탄소보존에 힘쓰기는 어려울 것이다. 북한은 주민이 거주하는 주소에 대한 등록제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여서 북한 주민들은 거주 이동의 자유가 없다. 따라서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산림 지역 주민들은 평생 국가가 분배한 땅을 사용한다. 북한의 주민등록증인 공민증은 거주지역의 항구성과 토지 및 산림 관리 의무지역을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토지사용권(land tenure)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오늘날 많은 다국적기업의 연간 수입은 북한 정부의 연간 예산을 능가한다. 세계은행은 북한과 같은 고립된 국가에 진출할 때 첫 번째 계약을 다국적 기업들과 체결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이러한 국가들이 세계시장경제에 편입되는 것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