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남북관계]
...규범으로서의 자유민주주의는 1987년 민주화와 함께 개정된 현행헌법 제4조에 명시되어 있다. 또한 자유주의적‧자유민주적 통일방안과 담론의 중요성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특히 강조되고 있다. 게다가 1989년 자유주의 이념의 승리로 인한 ‘역사의 종언’이 선포된지 35년이 되는 시점에서 과연 자유주의와 자유민주주의 이념의 승리가 여전히 현실 세계의 승리로 이어지고 있는지 여부, 그리고 앞으로의 현실적 승리를 낙관할 수 있는가 여부를 다시 생각해봐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자유주의와 자유민주주의, 그리고 보편적 인권의 본질을 최근의 연구성과들을 통해 재조명 및 재검토하는 동시에 이러한 시각과 방법론의 연장선상에서 한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자유민주적 통일의 정치사상사를 재구성할 필요성이...
[사회/문화]
도서 PDF 받기:_저출산・고령화 시대의 통일문제: 노동시장과 사회보장
한반도 통일방안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나와 있지만 통일여건은 계속 변하고 있으므로 재검토와 수정‧보완 작업이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변화는 남북한에서 함께 진행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이다. 남한은 출산율이 예상보다 훨씬 빨리 떨어져 20년 후에는 세계 최고의 초고령 사회가 되고 총인구와 생산연령인구가 빠르게 감소할 전망이다. 북한에서도 남한보다는 속도가 훨씬 느리지만 역시 저출산‧고령화가 계속될 것으로...
[학술논문]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이행과정과 추진전략 재검토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1989년 9월 노태우 정부가 만들고, 1994년 8월 김영삼 정부가 보완하고 발전시킨 대한민국의 공식 통일방안이다.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입안할 당시와 지금의 통일 환경이 많이 변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이 만들어진 과정과 역대 정부의 이행과정을 평가하고, 통일방안을 업그레이드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을 민족과 민족주의 문제, 남북합의 이행과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단계설정문제, 북핵문제 해결과 통일로드맵의 연계문제, 지역통합과 통일방안의 연계문제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탈냉전과 글로벌리즘의 강화, 북한의 핵무기개발, 중국의 부상 등 통일환경의 변화로 민족공동체 통일방안 ‘3.0’을 모색할 단계에 이르렀다. 독일의...
[학위논문] 남북한 통일 과정에서 필요한 디자인정책 연구
...차이점으로 관찰되었다. 산업 측면에서는 북한의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로 인한 디자인 시장 부재, 표현 자율성 부족, 문화다양성 부족의 문제점들을 찾을 수 있었다. 남한 디자인은 한국적 조형성의 부재를 지적하였다.
다섯째, 한국의 통일정책과 과정별 관련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 정부의 「한민족공동체 건설을 위한 3단계 통일방안」의 통일과정을 기본으로 삼고, 3단계 과정별 디자인과 관련된 국제 사례들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통일 1단계인 화해협력 단계는 중국홍콩과 대만의 디자인 민간교류 및 국가상징개발의 협력사례를 참고하였다. 2단계 남북연합 과정은 경제연합공동체인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를 조사하였는데, 디자인이 연합정부 구성 단계에서 정체성 형성과 지역...
[학술논문] 안재홍의 ‘신민족주의’ 역사의식과 평화통일의 과제
이 논문의 목적은 안재홍의 ‘신민족주의’ 역사의식과 민족통일방안을재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이 추구해야 할 보다 적극적인 평화통일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첫째, 안재홍의 ‘신민족주의’는 다음과 같다. ①한민족은 오랫동안 동일한 언어와 역사 및 정치적 공통경험을 지닌운명공동체로서 문화적 민족주의의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②정치적 ․ 사상적 전통과 사회경제적 조건 및 국제정치적 형세로 보아 해방정국에서좌파계급혁명은 허용될 수 없다. ③대신, 한민족 구성원들은 일본제국주의에 의해 모두 속박 ․ 착취당하다가 다시 그 전체가 하나로 해방되었기때문에 ‘겨레’의 원리에 따라 먼저 국내단합을 성사시켜 통일국가를 수립하는 민족투쟁을 실천해야 한다. 그리고...
[학술논문] ‘진보당사건’과 진보당의 평화통일론 재검토 - 『진보당사건기록』을 중심으로 -
한국전쟁 이후 분단이 고착화되면서 통일방안은 지금까지도 과제로 남아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1950년대 진보당은 정책 중에서 무엇보다 평화통일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있었고, 진보당=평화통일이라 할 수 있을 만큼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이제껏 진보당의 평화통일론 연구는 진보당의 평화통일론 보다 진보당의 당수인 조봉암의 평화통일론에 치중되어 연구해 왔다. 이글에서는 ‘진보당사건’에서 진보당 탄압의 빌미를 제공한 김기철의 「선언문」과 조봉암의 「평화통일에의 길」을 통해 진보당 당원들의 평화통일론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았다. 김기철의 「선언문」은 김기철의 개인적 의견으로 진보당의 통일정책으로 채택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김기철의 「선언문」은 진보당 통일정책에서 한발 더 나아가는 계기를 만들었다...
[학술논문] 1964년 중국 핵실험과한국의 통일·외교정책 논의
본 연구는 1964년 중국 핵실험의 영향으로 촉발된 외교통일안보 정책의 재검토 중에서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 되었던 세 가지 문제를 검토한다. 이는 (1) 유엔의 판도 변화와 민족자주적 통일방안의 필요성; (2) 중립국 외교 강화와 할슈타인 원칙의 신축적 적용; (3) 통일외교정책연구의 체계적 제도화로 요약할 수 있다. 중국이 유엔(UN)가입을 하지 못하고 국제적으로 고립되어있던 1950년대는 중국의 잠재적 부상이 한국의 외교통일정책 논의에 있어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와서 중국의 핵 보유가 기정사실로 되고 실제로 핵실험에 성공하자 대공산권, 대중립국, 그리고 유엔과 군축문제 등에 중국은 실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국의 국제적 고립과 북한의 붕괴를 전제로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