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사적으로 살펴 본 중국의 對한국 경영외교정책에 관한 연구
...한반도분단 상황해결은 당사국의 몫이지만 안보는 주변정세와 맞물려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지리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중국의 한반도 안보외교정책은 우리에게는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과거 한반도의 운명은 주변강대국의 세력경쟁 틈바구니속에서 그 들의 입김에 의해 결정되어, 탈냉전이라는 다극체제 속에서도 한반도는 강대국의 긴장완화와 세력균형 유지라는 주변 강대국들의 속셈에 휘둘러져 남과 북이 분단이라는 비운을 맞이 한 바 있었으며, 한반도의 긴장은 한 치 앞을 알 수 없을 정도로 더 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박근혜 현 정부는 그 어떠한 정책보다도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대외교안보정책을 최우선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것이며, 중국을 정치적동반자로서 공고히 다져 안보외교정책을 유지 혹은 강화해야 할 것이다. 한반도의...
[학술논문] 한반도 평화체제에 관한 헌법적 고찰
...처음에 도입된 시기에는 이 조항을 근거로 하여 북한을 반국가단체로 보았으므로 남북 간의 이해와 교류를 막는 조항으로 기능하였으나 지금은 시대가 변화하였으므로 영토조항도 주권자의 의사에 맞게 해석될 수 있다. 영토조항이야 말로 한반도 평화체제의 선행과제인 남북경협의 근거가 되는 조항이며 탈북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즉 통일과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기본조항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헌법 제4조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한다고 규정되어 있는데 이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이란 결국 사회민주주의 국가인 북한에 대한 흡수통일을 천명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북한과의 평화체제를 수립함에 있어서...
[학술논문] 북한의 평화통일정책과 남북총선
...상황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남한의 통일방안은 평화통일과정에서 구체적으로 발생할 남북 간 정치과정에 대한 내용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 남한의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은 국가연합에서 통일국가로 나가는 3단계 과정을 밝히고 있지만 남북 간 국가연합단계에 통일국가의 형태에 필요한 제도적 장치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장기적으로 한반도문제가 남북 간 문제로 대두되고 정치적 방법을 통한 통일이 논의될 때 남북총선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남한의 민주화과정을 근간으로 마련된 이른바 ‘1987년 체제’를 담은 현행 헌법이 개정될 경우 남한 정당들 간에 통일국가의 성격에 관련해서 정치체제와 이념에 대한 최소합의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남북총선을 포함해...
[학술논문] 新 베를린 선언과 남북관광 교류 탐색 연구
...한반도 평화통일 정책의 기본 방향을 설정한 ‘신 베를린 선언’을 토대로 남북관광 교류 협력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북한의 도발적인 핵 실험과 ICBM을 포함한 미사일 발사를 하는 위협 속에j서 대화와 압박을 통해 북한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신 베를린 선언’은 한반도 평화를 이끌 수 있는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을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걷잡을 수 없는 북한의 도발적 행위와 미국 대통령의 강경 발언 등으로 긴장이 지속되고 있는 현실적 장벽을 극복해야 하는 난제가 있다. 신 베를린 선언은 적극적인 대화와 교류, 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통일을 이룩한 독일의 사례에서 한반도 평화 통일의 해법을 찾을 수 있다는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한반도에...
[학위논문] 남북교류협력과 국회 : 남북교류협력법제의 분석과 의회 간 교류를 중심으로
...관련 법률에 대한 국회의 심사 사례를 살펴보았다.
대한민국헌법은 조약에 대해 ‘헌법에 의하여 체결・공포된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는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제6조제1항).”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함께 헌법 제3조의 영토조항(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과 제4조의 평화통일조항(대한민국은 통일을 지향하며,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한다.)과의 관계와 관련하여 서로 모순되는 듯한 헌법규정으로 인하여 남북한 간의 합의서의 법적 효력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이와 같이 헌법 규정 및 개별 법률 간 충돌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남북관계를 동・서독의 경우와 같이 국가 간의 관계가 아닌 특별한 관계로...
#권기원 #국회 #조약 #남북기본합의서 #판문점선언 #남북합의서 #남북교류협력 관련 법률 #동서독 기본조약 #비준동의 #남북 국회회담 #National Assembly #Treaties #Inter-Korean Basic Agreement #Panmunjom Declaration #Inter-Korean Agreements #Acts on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Basic Treaty of East and West Germanies #Ratification of agreements #Talks of National Assemblies of South and North Ko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