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소설에 나타난 생태 환경 담론의 특성 연구
...강화했다. 이 글은
한은희의
<
새들이
날아들
때
>와 황철현의
<푸른 숲
>, 김창림의
<생활의 선율
>, 김향순의
<두번째 작별
> 등을 분석해 북한 생태담론 작동 양상을 규명할 분석할 목적으로 쓰여졌다. 북한의 생태 환경담론은 주체사상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북한은 주체사상의 인간중심주의에 기반해, ‘만리마 시대’, ‘사회주의 강성대국 건설’의 외치고 있다. 북한 주민들은 당정책에 순응하면서도 생태환경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자각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북한 민중들이 국가가 주도하는 생태환경 정책에 대한 우회적 반발로 의미화할 수 있다. 산림황폐화로 인한 자연재해, 에너지문제와 연관된 생태 불균형은 인간 삶 자체를 위태롭게 한다.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삶의 질을 점진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