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핵문제 관련 한국의 정책대안
북한 핵문제가 불거진 1993년 제1차 핵위기 이후 21년이 지났다. 국제사회는 대화를 통한 외교적 방법으로 북한의 비핵화를 유도하려 하였지만, 현재로서는 실패한 셈이다. 그 기간 동안 북한은 3차례의 핵실험을 통해 핵 역량을 강화하였고, 플루토늄재처리 뿐 아니라 고농축우라늄까지 확보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2008년 이후 지금까지 6자회담이 공전되고 관련 합의들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외교적 방법으로 북핵문제 해결이 더욱 어려운 상황이 되어가고 있다. 그러자 우리사회 일각에서는 핵무장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핵무장론에 대한 찬반을 검토하였다. 우선, 핵무장 찬성론은 국민들의 정서에 부합되고, 북핵 포기 협상용으로서 그리고 중국의 대북정책 전환을 강요하는 차원에서 미국의 핵 확장억제 강화 측면에서
[학위논문] 북-미 관계와 북한의 핵 위기 : 동거적(cohabitant) 다자주의 기구
조선인민민주주의공화국(북한)은 냉전구도의 사회주의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국가 중의 하나이다. 또한 미국의 제국주의에 대한 북한의 투쟁은 북한 체제의 존재이유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반미주의에 대한 북한의 인식은 냉전구도 이후에도 변함없이 지속되고 있다. 표면적으로만 보면 북한은 다자주의를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특히 다자주의 기구가 북한의 종적인 미국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그러나 다자주의 기구는 냉전 이후에도 북-미 관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해오고 있다. 그렇다면 북한이 미국과의 관계에서 다자주의의 요소를 인정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연구는 북한과 미국의 관계에 등장하는 다자주의 양상 관련 사례연구로서 북한의 두 번의 핵 위기 즉, 과거 1994년-1995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