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국, 핵무기 운용전략 개정…"러·중·북 핵 위협 동시 억제"
미국이 러시아, 중국, 북한의 핵 위협을 동시에 억제하는 방향으로 핵무기 운용 지침을 개정했다.
15일(현지시간) 미 국방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491 보고서'의 공개본을 전날 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기밀 내용이 담기지 않은 이 공개본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올해 개정한 핵 운용 지침을 소개했다.
[뉴스] 軍, 전략사 출범 후 한미 연락관 상호 배치…"다만 정보공유는 제한적"
다음 달 창설을 앞둔 대한민국 전략사령부가 미국과 연락장교를 상호 파견해 상주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양국 핵·재래식 무기 통합 운영 체계의 발전과 북핵위협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정보 공유와 소통의 수준을 높이기로 한 것이다. 더불어 한미 전략사 간 고위급 정례회의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미국의 핵운용 지침상 중요 표적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까지 양국이 공유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다.
[학술논문] 북한의 핵억제론: 교리, 전략, 운용을 중심으로
...관계, 핵전략과 한계, 핵운용 유형 등을 규명한다. 북한은 2003년 6월 최초로 “핵억제”를 주창한 이후 국가주권 보호와 전쟁방지가 목적이며 핵이 협상대상이 아니라고 일관해왔다. 핵억제 주장은 “핵의 평화적 이용”이라는 과거의 수사에서 크게 선회한 것으로서, 핵억제 필요의 근거로 9.11 이후 미국이 채택한 선제공격론을 들고 있다. 북한의 핵교리는 2013년 4월 핵보유법제화와 여타의 정부 성명 및 매체들을 통해 구체적인 실체를 드러냈다. 북한의 핵억제는 핵능력의 비대칭성으로 미국의 확장억제에 비교되지 않아 억제력의 효용은 제한된 반면, 모호성을 통한 위협의 고저조절, 합리적 비합리성의 연출 등으로 일정한 효과를 노리고 있다. 북한의 핵운용은 핵군축협상 주장과 군사적...
[학술논문] 북한의 핵운용전략과 한국의 대북 핵억제전략
북한의 핵위협 증가 속도를 고려 시 북한의 핵운용전략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대응전략을 마련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북한의 점증하는 핵위협에 대해한국은 독자적인 억제능력을 강화하면서도 미국의 확장억제 보장에 의존하여이에 대처하고자 한다. 한국은 킬체인과 미사일 방어능력을 강화하고 있으며,미국과 맞춤형 억제전략을 이행할 수 있는 방안을 합의하고 이를 추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대북 핵억제전략은 아직 공개적으로 논의가 미흡한편이다. 본고는 핵전략의 일반적 특성과 고려사항, 북한의 핵능력 강화와 핵무기운용 전략, 한국의 대북 핵억제전략 현황 그리고 한국의 대북 핵억제전략 발전방향을 체계적,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핵억제전략은 북한의 평시 핵위협, 국지전시 핵도발, 전면전 시 핵사용을...
[학술논문] 냉전 초기 소련의 핵개발 특성과 핵전략
...운용을 위한 핵전략을 이미 수립하였거나 수립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적극 추진하고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핵전략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핵 지휘통제체계와 표적 선정 교리는 냉전 초기의 소련과 북한이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두 번째로는 핵탄두를 멀리 보낼 수 있는 운반수단의 개발도 핵탄두 개발과 더불어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다. 소련이 미국에 대항하기 위해 장거리 탄도 미사일을 집중 개발했던 것처럼 북한도 고립된 현 상황서 장거리 탄도 미사일이 가장 효과적인 운반수단이라고 판단하여 이에 노력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는 것이다. 북한의 핵운용전략을 파악하기 위한 다방면의 노력과 이에 맞는 대응전략 수립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소련의 초기 핵개발 특성과 핵전략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가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다.
[학술논문] 북한과 이란의 핵전략 비교연구: 비핀 나랭의 핵전략 이론을 중심으로
...국제사회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은폐전략으로 핵무기획득을 시도하였으나 2002년 핵시설이 폭로되면서 사실상 핵무기 보유는 불가능해졌다. 이란의 초기 핵 운용전략은 러시아를 후원국으로 삼는 촉매형 전략이다. 이란이 핵무기 획득에성공한다면 국토 규모, 주변 적대국들의 우세한 전력, 최고지도자의 독단적 핵무기 사용권등을 볼 때 핵공격을 받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방어적 성격의 확증보복형 전략을 선택할것이다. 북한은 김일성 정권 당시 러시아와 중국의 후원을 이용한 방어벽추구전략으로 핵개발을 시작하였고 김정일‧김정은 정권에서는 전력질주전략을 통해 핵무기 획득에 성공하였다. 핵 운용전략은 러시아와 중국을 후원국으로 삼는 촉매형 전략을 가졌으나 탈냉전으로 공산권이붕괴되고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러시아와 중국이 참여함으로 촉매형...
[학위논문] 핵개발 전략이 핵협상에 미치는 영향 : 이란과 북한 사례를 중심으로
Today, as it is called the Second Nuclear Age, nations seeking to possess nuclear weapon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e in constant distress. In order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nuclear weapon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proposed coercive or conciliatory solutions through cooperation.
However, because the development motives and strategies of potential nuclear states are diffe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