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식민주의의 귀환, 시적 응전의 감각- 1965년 한일협정과 한국 현대시 -
...투옥의 고통을 겪은 후 미국에서 오랜 이산 생활을 견뎌야 했던 마종기의 시작(詩作) 활동이 갖는 의미를 분석했다. 4장에서는 언론과 표현의 자유를 강조하며 불온의 시학을 펼쳐나간 김수영과 분단현실을 극복하는 중립지대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강조했던 신동엽의 활동이 갖는 의미를 분석했다. 5장에서는 세계적인 냉전체제를 허무는 데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서구의
68
혁명에 먼저 주목했다. 그것의 한반도 내 사전(事前) 상황으로서 군사정권의 독재 통치 및 그에 맞선 문학예술의 저항 활동을 상호 대응시켰다. 이를 위해 전자에서 ‘동백림 사건’으로 대표되는 간첩단 조작 및 진보예술의 탄압, 국민들의 순응적인 계몽과 훈육을 목표한 ‘국민교육헌장’의 반포 등에 담긴 파시즘적 폭력성에 주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