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of conflict is the foundation and norm of a stable political environment. Combining complexity theory and the notion of signature with case studies, it argues that political processes need to be understood within their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t thus develops the idea of enduring conflict, referring to both the enduring nature of political conflict and the endurance of people in conflict-ridden...
[사회/문화]
...규정하든지 간에 전쟁이 중단된 이후 민족해방과 체제경쟁과 같은 명분은 사라졌다. 그럼에도 대결과 불신을 근간으로 하는 정전체제가 65년여 동안 지속되어온 이유가 무엇인지 냉정하고 객관적인 자세로 성찰할 바이다. 이를 이 책에서는 ‘분단정전체제’의 지속이라 이름 붙이고 있는데, 그것은 평화학에서 말하는 장기분쟁(protracted conflict)의 한 형태이다.
장기분쟁의 한 형태로서 ① 분단정전체제가 이렇게 지속되는 이유가 무엇인가, ② 그것이 대중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그리고 ③ 그것을 어떤 시각과 접근으로 극복할 수 있는가? 지금까지 이 세 질문에 대한 국내의 응답은 국제정치학, 안보연구, 통일연구 등과 같은 기성 주류학문이 모색해왔다. 그러나 그 응답은 분단정전체제의...
[사회/문화]
...갈등전환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
추천사
강영진(갈등해결학 박사)
존 폴 레더락 교수는 갈등을 보다 깊고 넓은 관점에서 바라보고 접근하려 한다. 인간과 세계, 그리고 관계에 대한 깊은 이해와 대화를 중시하고 진정한 정의와 평화를 추구한다. 갈등전환(conflict transformation)이란 다소 낯선 이름을 붙인 것도 그런 관점과 접근법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다보니 ‘해결’과 ‘전환’을 도식적으로 나누고, ‘갈등해결’ 분야를 너무 좁게 본 아쉬움은 있지만, 레더락 교수의 그런 문제의식과 강조점은 나 역시 깊이 공감한다. 이 분야의 명저로...
[학술논문]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복지선교 연구
...between their own background and cultural environment. For they recognize the boundary between the major Korean group and the minor foreign group, they suffer from emotional conflict and severe depression. Such the conflict and psychological disorder have been transferred to their children naturally so that the multicultural youths consequently suffer from the same severe depression as their parents...
[학술논문] 종북프레임과 민주주의의 위기
...over one’s life, and restore social community should continue, in order for us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offensive way of life, and restore unity and coexistence as the everyday way of life. This ‘Following-North’ frame, the epitome of hatred cultivated by war, conflict, dissension that continued for over 60 years, should be overcome in order for democracy to thrive once again.
[학술논문] 남북의 문학적 통합과 북한문학으로서의 재월북 작가 연구
...the novelist Lee-Kiyoung spent all their life in North Korea aftner emancipation. they had no tension with North Korean state regime. They followed the polictics of government without tension and conflict. Considering these situations, Baik-Suk and Han-Sulya is very important in literary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But there are so many problems in studying these writers in South Korean literary...
[학술논문] 1950년대 마오쩌둥(毛澤東)과 김일성의 정치 사회화와 ‘지식인 공간’에 관한 연구
...socialism" is called, then North Korea is' "Our socialism" to be an advocate. Dynamics of any system is initially prepared to lose, but it is too early in the process, North Korea. Civil conflict is becoming clear what proportion of the diversity and dynamics inside North Korea sharply weakened. Political figures and critics of the regime have been ruled out first, followed by the system from...
[학술논문] 원폭 투하를 막아라 ― 한국전쟁기 북일 평화운동의 전개와 의미
...Korea adhered to the ideological pacifism that employed the rhetoric of the ‘homeland emancipation war’ as a means to peace. Meanwhile, Japan’s revolutionary powers abandoned armed conflict in favor of absolute pacifism while forgetting Chosun’s history as non-Japanese radiation testers. Thus the two peace movements lost their link of solidarity and the two different ideas of pe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