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들의 안보의식에 대한 비교ㆍ분석-군사학과 설치 대학과 미설치 대학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일반대학에서 군사학과 설치 학교의 대학생들과 미설치 학교의 학생들의 안보의식을 비교분석하여 안보전략과 안보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학생들의 안보의식을 조사한 결과, 보통수준으로 나타났고, 지역과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현재 우리나라 안보의 안정성에 대한 인식은 평균적으로 낮게 나타나 안보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북한의 도발이 안보에 미치는 영향은 높게 인식(평균 4.33점)하였다. 군사학과 설치 여부와 군사학과 개설에 따른 대학생들의 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보통수준(3.44점)으로 조사되었고, 지역, 성별, 병역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으며, 군사학과 운용 인지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군사학과 학생들의 학습내용, 혜택과 향후 진로
[학위논문] 1948年 平壤 「南北朝鮮 諸 政黨·社會團體代表者 連席會義」와 北韓의 統一戰線戰術에 관한 硏究
...South Korean social groups excluding anticommunist groups.
In the Geneva Conference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of the Korean War, North Korea commanded a united front strategy toward the South Korean left wings and their sympathizers announcing the 6 preconditions for Korean Peace, which proposed the withdrawal of the American troops and the disarmament. During the 1960s, North Korea...
[학위논문] 북한의 대남도발 양상과 정전체제의 유용성 연구
...economic situation or the U.S. interference or friendly forces like China or Russia are; ① establishing bipartisan cooperations system in national security area; ② eradication of North Korea’s spy or North Korean sympathizers that cause internal conflict within South Korea; ③ raising South Korea’s 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 ④ strengthening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infrastructure(esta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