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들의 안보의식에 대한 비교ㆍ분석-군사학과 설치 대학과 미설치 대학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일반대학에서 군사학과 설치 학교의 대학생들과 미설치 학교의 학생들의 안보의식을 비교분석하여 안보전략과 안보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학생들의 안보의식을 조사한 결과, 보통수준으로 나타났고, 지역과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현재 우리나라 안보의 안정성에 대한 인식은 평균적으로 낮게 나타나 안보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북한의 도발이 안보에 미치는 영향은 높게 인식(평균 4.33점)하였다. 군사학과 설치 여부와 군사학과 개설에 따른 대학생들의 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보통수준(3.44점)으로 조사되었고, 지역, 성별, 병역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으며, 군사학과 운용 인지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군사학과 학생들의 학습내용, 혜택과 향후 진로
[학술논문] 탈북 대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레질리언스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resilience on the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from North Korea, and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6 university students from North Korea (53 males and 63 females) aged between 20 and 35 year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학술논문] Multiculturalism Is Good, But We Are Not Multicultural: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ism
...examine how North Korean defectors perceive multiculturalism in South Korea and how they posit themselves among other multicultural minorities. In-depth interviews with 30 North Korean defector university stud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of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society in South Korea, national identity, and opinions of being categorized into one of multicultural groups...
[학술논문] 군생활체험 TV프로그램 ‘진짜사나이’ 시청이대학생의 군 이미지와 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의 목적은 진짜사나이 시청이 대학생의 군 이미지와 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충청, 전라에 있는 대학생 중 편의추출법으로 392명을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진짜사나이 시청정도에 따라 군 이미지, 안보의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군 이미지 하위요인 중 합리성, 응집성, 권위성, 폭력성, 권위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안보의식 하위요인 중 대북정책에 대한 시각, 북한에 대한 시각, 북한의 군사적 위협, 안보의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진짜사나이’를
[학술논문] 동유럽에서의 한국학 교육 현황 (1) - 폴란드의 대학을 중심으로
...University in Cracow)는 1999년부터 한국어 강좌를 시작하였으며, 브로와초프대학교(University of Wrocław in Wrocław) 는 2010년 10월부터 한국어와 한국문화 강좌를 시작하였다. 바르샤바대학교와 브로와초프대학교의 한국학과는 한국어와 한국의 역사, 문학, 철학, 종교, 예술, 문화, 사회 등의 과목도 가르치고, 아담미츠에비츠대학교와 야길론스키대학교는 한국어강의에 치중한다. 교재는 주로 한국 교수와 폴란드 교수가 함께 쓴 『폴란드인을 위한 한국어 1,2,3 ;Koreański dla Polaków 1,2,3』 과 『폴란드인을 위한 한국 문화 30강, Kultura koreańska – wykłady dla polskich studentów』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