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시대의 한반도 지역어와 한국어 다양체의 교육적 시사점
...특이점(singularity)의 위상으로 보았다. 남북이 상호 연결 접속하는 통일시대에 남북의 언어는 이질성도 갖고 있지만, 그보다 더 강한 동질성을 갖고 있는 한반도 지역어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제주를 비롯하여, 전라, 경상, 충청, 경기, 강원, 황해, 평안, 함경이라는 아홉 방언지방으로 구획 가능한 각 지역어는 들뢰즈(Deleuze, G.)
가타리(Guattari)가 제시한 ‘다양체(multiplicity)’로 존재하는 양상이다. 이런 관점에서 한반도 아홉 지역어는 상호 차이를 지닌 ‘언어 다양체’이며 땅속뿌리인 리좀(rhyzom)으로 존재하면서 ‘종합’의 가능성을 지닌 ‘한국어 다양체’이기도 하다. 한국어 다양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