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구글어스 기반의 공간영상 분석을 통한 북한도시들의 환경오염과 산림파괴 연구

Spatial Photo Analysis Using Google Earth Images to Measure Urba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forestation in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기정훈
소속 및 직함 명지대학교
발행기관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지 환경정책
권호사항 24(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33-146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구글어스   #영상분석   #북한 도시   #환경오염   #산림파괴   #기정훈
조회수 12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북한의 환경오염과 자연환경 파괴에 과학적인 분석과 과학기술협력을 통한 환경관리가 필요한 이유는무엇보다도 이 문제가 북한 사회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산림, 농업환경 및 국토개발과 관계된 분야의 문제는 식량생산과 거주지 등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시급하게 개선해야 할필요가 있다. 따라서 북한의 산림, 농업환경 및 국토개발 분야의 기술적인 분석과 과학기술협력은 통일을 대비하여서 과학기술분야의 조율과 협력을 하기 위한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를 통해서 비록 미약하나마북한의 개방과 남한과의 우호적인 관계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기존에 소개된 대부분의 과학기술협력방안은 기본적인 약점을 안고 있는데, 이는 남북한의 정치적 상황 뿐 만아니라 북한의 내부적인 상황에 따라 그 구체적인 조사와 실행력이 매우 불안정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약점을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한데, 그 하나는 기술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환경현황조사를 하기 위한 구글어스(Google Earth)와 같은 도구를 활용하는 방안이고, 다른 하나는 행정적 차원에서 정치적인 상황변화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기술협력을 할 수 있는 협력적 거버넌스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글어스를 활용하여 북한환경현황조사의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구글어스는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북한의 지리정보를 대체할 수 있는 가장 유용한 자료라고 판단된다(사공호상 등, 2007; 김창환 등, 2012). 따라서 기존 연구조사의 약점을 극복하고 높은 수준의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산림 및 농업환경 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 구글어스 영상분석은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효율적인방법이 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