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비군사적 수단을 활용하여 상대방을 자극하거나 도발하는 행위인 원격도발의 국제적 확산 양상을 분석하고, 북한의 원격도발 유형 및 특징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아 우리의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여기서 원격도발은 체제 유지 및 외부 개입 차단을 목적으로, 풍선 도발, GPS 교란, 사이버 공격 등 다양한 비군사적 수단을 활용하여 상대방에게 피해를 가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북한 또한 최근 원격도발을 통해 우리 사회의 혼란을 야기하고 정부의 대북정책 변화를 압박하며, 잠재적인 무력 충돌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한반도 안보 환경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다. 비록 원격도발이 즉각적인 무력 충돌로 이어지지는 않더라도, 상호 보복적인 행위를 유발하여 남북 관계를 악화시키고 한반도의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장기적인 노력과 병행하여 원격도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우리는 전 세계적인 원격도발 증가 현상에 맞서, 평시 강력한 억제력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도발국가에 대한 경고 조치와 함께 국제법적, 기술적, 외교적 수단을 총동원하여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공동 대응 기반을 마련하는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며, 내부적으로 교육을 통해 국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global spread of remote provocations, which involve the use of non-military means to provoke or incite adversaries. It will delve into the specific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remote provocations and explore potential countermeasures.
Remote provocations in this context refer to non-physical attacks, such as balloon provocations, GPS jamming, and cyberattacks, aimed at disrupting the target state and deterring external intervention.
North Korea has been leveraging remote provocations to sow discord within our society, pressure the government to change its North Korea policy, and heighten the risk of armed conflict, thus destabilizing the security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While remote provocations may not immediately escalate into armed conflict, they pose a significant threat as they can trigger retaliatory actions, exacerbating inter-Korean relations and increasing tension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n effective countermeasure system against remote provocations in parallel with long-term efforts to denuclearize North Korea.
To address the global surge in remote provocations, we must maintain a strong deterrent posture during peacetime and respond to provocations by employing a combination of warnings, legal, technological, and diplomatic measures. Furthermore, it is crucial to foster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establish a collective response framework. Domestically,
efforts must be made to minimize civilian casualties through public education and awareness campaigns.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