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억제는 국제관계의 역학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그 개념적 정의와 실증적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미국의 이중억제 전략의 전형적 사례인 한반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중억제의 개념과 작동원리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에서 미국의 이중억제 전략이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미동맹의 핵심인 주한미군을 주요 지표로 삼아 이중억제를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주한미군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나 확고한 방위 ‘공약’은 대북억제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였다. 주한미군의 한국에 대한 ‘통제’와 ‘제한’은 감소되었지만 그 본질적인 역할은 지속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은 주한미군에 대해 양가적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위협은 최소화하고 효용은 극대화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대응해왔다. 한국은 주한미군의 대북억제 역할에 대한 과도한 의존에서 벗어나 안보역량을 강화하고 동맹 내에서 자율성을 확대하려는 방향으로 대응해왔다. 결과적으로, 주한미군의 이중억제 역할은 남북 간의 “적대적 공존” 상황 속에서 “위태로운 안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이중억제의 개념적 연구에 기여하며, 한미동맹과 주한미군에 관한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Dual deterrence has served as a useful concept for interpreting various dynamics in international relations, yet its conceptual definition and empirical research remain underexplored. Research specifically addressing the U.S.’ dual deterrence strategy on the Korean Peninsula is especially scarce. This paper, therefore, aims to clarify the concept and operational mechanism of dual deterrence, focusing on how the U.S. has applied this strategy on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the presence of U.S. Forces Korea (USFK) as a key indicator of the ROK-US alliance,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of dual deterrence. Findings indicate that, while the scale of USFK has gradually declined, the firm “commitment” has continued to reinforce deterrence against North Korea. Though the function of USFK in “controlling” and “constraining” South Korea has weakened, its core deterrent role remains intact. North Korea, holding an ambivalent view of the USFK, has strategically sought to minimize its threat while maximizing its utility. Meanwhile, South Korea has moved away from excessive dependence on USFK’s deterrent role against North Korea, focusing instead on enhancing its security capabilities and pursuing greater autonomy within the alliance. In sum, the dual deterrence of USFK has contributed to maintaining a “precarious stability” within the context of “hostile coexistence” between the Koreas. This study contributes to a deepe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dual deterrence and offers crucial policy insights for the ROK-U.S. alliance and the role of USFK.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