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황폐화 문제는 1990년대 북한 식량위기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 따라서 북한 식량문제의 파급효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토지황폐화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북한 토지황폐화 문제의 기본정보가 될 수 있는, 충분한 수준의 북한 토양정보 또는 토양도는 현실적으로 구득하기 어렵다. 따라서 북한의 토양속성에 대한 정보를 추정하는 연구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의 토양정보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구득 가능한 정보를 이용한 북한 토양예측도를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카테나 방법을 기반으로 한 경관구분법을 주된 연구 방법으로 하였다. 토양예측방법론은 크게 네 가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로, 토양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요인들의 공간적 스케일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환경변수의 스케일을 바탕으로, 두 번째 단계로써 토양형성의 프로세스를 반영하는 토양경관 단위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전문가 자문과 자료를 이용하여 토양형성정보를 토양경관단위에 할당하는 단계로, 토양분야 전문가와의 수 차례 토론한 결과와 남-북, 북-중 국경 자료를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단계는 위의 과정을 이용하여 토양예측도를 도출하는 단계이다. 위 단계의 과정을 거쳐 남한산림청의 산림토양분류체계에 기반을 둔 산림토양형 예측지도를 도출하였다. 단, 기후 조건상 남한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북한에 존재할 것으로 여겨지는 포드졸성 토양을 새로운 분류에 추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북한의 토양예측 기법을 기반으로, 향후 북한에 대한 더 정확한 자료가 보충된다면 정확도가 더 향상된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남북의 토지황폐화 저감분야 협력에 활용될 수 있다.
Since land degradation have been a critical factor for North Korea famine in mid-1990s, the process of land degradation in North Korea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socio-ecological effects of this famine. Despite the great necessity of soil information or actual soil map of North Korea for the land degradation research, useful data as such are sparse and generally inaccessible. Therefore the prediction and estimation of soil properties in North Korea is first needed. From this standpoint,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methods to predict and map the distribution of soils and their properties in North Korea. It attempts to generate predicted soil map as a result supported by a currently available database. The main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landscape delineation suggested by Park et al. (2001) referred to as “Catena Method”, which is a quantification on the soil-landscape unit from Catena concept or Nine-unit landscape model. The procedure of this study consists of four steps: The first step is identifying spatial scale of each soil-forming factor by using spatial dependency analyses. The second step is delineating soil-landscape unit based on generic landscape processes. The third step is to assign existing soil type to the delineated landscape units based on soil knowledge and ‘legacy data’. The fourth step is making predicted soil map. Following previous steps, North Korea Predicted Soil type map were made, based on KFS’s forest soil system. We added an independent soiltype for classifying podzol-like soil which does not exist in South Korea, but expect to exist in North Korea. This study is the first step for specific soil study in North Korea. The procedure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making more accurate soil map if we could access more information of North Korea. Moreove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ble to use cooperation for mitigating land degradation between North-South Korea.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