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기록으로 보는 成佛寺 鐵造菩薩坐像 연구

Study of the Iron Seated Bodhisattva Sculpture at Seongbulsa Temple in Record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상세내역
저자 권강미
소속 및 직함 국립중앙박물관
발행기관 미술사연구회
학술지 미술사연구
권호사항 (40)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83-107
발행 시기 2021년
키워드 #성불사   #철조보살좌상   #도선국사   #도선천   #정방산성   #권강미
조회수 79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우리나라의 철불은 통일신라 후기부터 고려 전기에 이르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선종 사찰과 이를 후원한 호족 세력에 의해 지방 사원을 중심으로 유행한 경향을 띤다. 이 시기에 제작된 철불 대부분은 여래좌상 형식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철불 연구를 위해서는 북한 지역에 소재한 철불도 포함되어야 함에 불구하고 남북 분단의 장벽 속에 그간 이 지역의 철불 연구는 거의 공백으로 남아 있었다. 다행히 2014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발간한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의 불교미술』과 같은 최근의 연구 성과에 힘입어 기존에 알려진 <개성 傳 적조사지 철조여래좌상> 외에 <장단 장좌리 철조여래좌상>, <황주 성불사 철조보살좌상> 등의 철불 자료가 소개된 바 있다. 이 글에서는 앞서 소개된 3건의 철불 외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등의 기록 자료를 보완하여 일제강점기 북한 지역에서 확인된 총 7건의 철불 자료를 추가로 소개한다. 성불사에는 우리나라에서는 드물게 철조보살좌상이 존재한 것을 유리건판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1935년 황해도지사가 올린 보물지정 안건의 ‘道詵鐵佛(혹은 道詵天在鐵佛)’이란 제목의 철불이 바로 성불사 철조보살좌상에 해당하는 내용임을 파악되어 당시의 조사기록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유리건판 사진을 토대로 이 철조보살좌상의 양식적 특징을 파악해 본 결과 제작시기는 통일신라의 전통이 남아있는 고려 초 10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에는 이 철불을 도선철불로 부른 것으로 전해지지만 실제 도선과의 관련성은 밝힐 수 없었다. 그러나 철이라는 이 보살상의 재질과 이 철불이 위치한 정방산성 일대의 전략적 요충지로서의 지정학 입지를 고려할 때 국토 비보의 목적에서 발원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별개의 자료로 전하던 성불사 철불의 유리건판 사진과 당시의 조사기록 내용을 결합하여 성불사 철조보살좌상을 조명해 보았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