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남북한 중학교 체육교육과정 비교연구: 남한 2015 개정교육과정과 북한 2013 제1차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강령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s of South and North Korea: South Korea’s 2015 Revised Curriculum and North Korea’s First Comprehensive 12-year Compulsory Education System

상세내역
저자 최진환
소속 및 직함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발행기관 심연북한연구소
학술지 현대북한연구
권호사항 24(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86-131
발행 시기 2021년
키워드 #남북 체육교육과정   #체육교수요강   #학교스포츠클럽   #과외체육소조   #최진환
조회수 101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남북한 중학교 체육교육과정을 비교하여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히고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비교 자료는 북한의 2013 교육강령과 남한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안에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이고, 비교·분석 대상은 교육의 목적과 방향성, 교육 내용, 교수·학습, 평가의네 범주이다. 북한의 체육 교수요강은 크게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제시되었다. 키크기 운동과 몸을 조화롭게 발달시키기, 한 가지 이상의 체육기술 소유, 노동과 국방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재 육성으로 요약할 수있다. 남북 체육교육과정의 비교·분석을 토대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첫째, 남북의 체육교육의 목적과 방향성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둘째, 체육 교육의 내용적 측면에서 남과 북은 공통점이 많다. 남한의 교육과정 발전 단계에서 6~7차 체육 교육과정이 북한의 2013 교육강령의 체육 교수요강과 교육 내용 구성 면에서 비슷한 형태를 보인다. 셋째, 남북교수·학습 방향성과 평가에는 수업 시 간접 체험 활동과 방과 후 체육활동을 강조한다는 공통점이 있고, 북한은 국가 주도의 획일화된 평가기준이 적용되는 반면, 남한은 평가의 자율성이 보장된다는 차이가 있다. 향후 남북 체육교과 교류 및 통합을 위해 방과 후에 공통적으로 이루어지는남한의 학교스포츠클럽과 북한의 과외체육소조를 매개로 학생 중심의 체육 교류대회를 추진하는 것이 유력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