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출생과 중국출생 탈북청소년의 언어경험과 영어(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languag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English (learning)

상세내역
저자 장은영
소속 및 직함 서울교육대학교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권호사항 21(1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41-558
발행 시기 2021년
키워드 #중국출생 탈북청소년   #북한출생 탈북청소년   #언어경험   #자아존중감   #영어학습동기   #장은영
조회수 71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탈북학생들의 언어 사용 현황, 영어 인식과 학습배경, 언어학습 동기요소, 자존감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이들의 다양한 언어경험과 인식에 대해 탐구하였다방법 탈북 학생을 위한 대안학교의 재학생 30명(북한출생 17명과 중국출생 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기본배경조사(10문항), 언어인식과 경험(19문항), 영어학습동기 (18문항), 자아존중감(10문항)의 4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리커트형식의 문항들과 서술형 문항들을 포함한다. 모든 설문 응답 내용은 엑셀파일로 정리하고 객관식은 기술통계 수준에서 분석하고, 서술형은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탈북 청소년들은 출생지와 이주경로 등에 따라 다양한 언어경험과 언어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영어 노출 기간이나 영어학습 경험 등에서 개별적으로 크게 차이가 났다. 일반적으로 탈북학생들은 자신의 영어능력을 낮게 평가하였고, 특히 북한출생 학생들은 중국출생에 비해 영어수업을 접한 경험이 적고 자신의 영어능력에 대해 더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탈북학생들은영어를 배우고자 하는 동기수준이 높았고, 노력하면 영어를 잘 할 수 있으리라는 자신감과 영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에 대한 기대감을보여주었다. 중국출생 탈북학생들에 비해 북한 출생 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기대감이 높았고, 구체적인 영어 학습의이유를 가지고 있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탈북학생들의 다양한 언어경험과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 및 기대감을 발견하였으나 이들 집단의 언어다양성이나 다중언어역량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교육 지원이 부족한 현실이므로 이에 대한 재고와 향후 개선이 요구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