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선 동북아지역내 부패에 관한 연구 동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국가별 연구동향을 비교 분석하는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동북아 지역내 북한;중국;러시아는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거나 유지하였던 국가로서 공통점을 가진다. 향후 북한이 정치와 경제체제가 전환되었을 시 중국이나 러시아의 모델을 따르게 될 확률이 높을 것이다. 중국처럼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시장경제를 받아들이는 방향이나 러시아와 같이 정치와 경제체제를 모두 전환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비하여 현재 동북아지역내 국가별 부패문제를 연구하고 부패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연구시기별 연구 동향은 연도별로 연구량의 증감이 일정하지는 않지만 꾸준하게 연구되고 있는 주제임을 알 수 있다. 둘째;연구 대상 국가별 연구동향 비교분석 결과 중국의 부패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이고 있었다. 셋째;연구 내용별 연구 동향은 북한과 러시아는 행정관료 및 경제;사회부패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중국은 행정 관료 및 정치;제도 부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행정관료와 관련된 부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 방법별 연구동향 결과 혼합연구와 질적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북한;중국 및 러시아의 부패문제를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과 해결책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향후 북한이 정상적인 국가로서 발전하기 위해서 부패문제는 결국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기 때문이다. 동북아지역내 부패와 관련한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계와 민관의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부패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