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6.25전쟁 정전 이후 개최된 1954년 제네바정치회의에서 통일정부 총선거 감시안을 두고 발생한 한국/자유진영과 공산진영 간 갈등을 ‘중립국’ 문제에 기초해 분석한다. 총선거의 감시를 위해 공산진영은 중립국감시안을 주장했고; 한국과 미국은 중립국감시안 반대와 유엔감시안을 제시했다. 공산 측의 중립국감시안은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라는 공산국을 참여시켜 의사 판단에 반수를 확보하는 방식이었다. 그렇다면 한국은 왜 국제적 압박 속에서 중립국 감시를 반대했을까? 첫째; 한국은 정치회의에 인도가 중립국으로 참가하는 것에 대해 한국 내에서 인도군과의 마찰에 따라 비판적 입장을 취했다. 또한 소련이 중립국 자격으로 정치회의에 참가하는 것 역시 중립적 지위를 활용해 공산주의를 확장하려는 전략이라 판단했다. 둘째; 공산 측이 제안한 인도차이나 휴전 중립국감시안은 공산 2개국을 참여시켜 반수를 확보하는 한국 정전 중립국감시위원단 구성과 동일했다. 자유진영은 공산주의와 중립이 양립할 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셋째; 한국에서 공산 중립국감시위원단의 정전협정 위반은 최근 연구로 입증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북한을 지원하며 전투태세를 갖춰 한국에 입국하려 했고; 폴란드의 정보요원들은 정전감시 규정을 위반했다. 이 ‘중립국’들은 한국을 ‘적’으로 북한을 ‘친구’로 인식했다. 6.25전쟁 직후 국가생존의 위기 처한 한국정부로서는 공산 ‘중립국’ 감시에 의한 총선거 제안은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Korean/free camp and the communist camp over the all-Korean elections at the Geneva Conference based on the primary sources. The communist camp insisted on neutral nations supervision of the Korean election; while the R.O.K. and the U.S. presented opposition to neutral nations and UN supervision. Communist countries supported neutral nations supervision to secure a decision-making majority by involving communist countries; such as Czechoslovakia and Poland. Then; why did the R.O.K. oppose neutral nations supervision under international pressure? First; the R.O.K. opposed India’s participation in the Geneva Conference as a neutral nation because of friction with the Indian troops in Korea. In addition; the R.O.K. government judged that the Soviet Union’s participation in the political conference as a neutral nation was a strategy to expand communism using its neutral status. Second; the neutral nations supervision plan for the Indochina armistice proposed by the communists was identical to the composition of the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NNSC) in Korea; which secured a majority by involving two communist countries. Thus; the free camp judged that communism and neutrality were incompatible. Third; the Armistice Agreement by the Communist NNSC in the R.O.K. had been violated. Czechoslovakia prepared to enter South Korea for a militant role; and Poland dispatched intelligence agents to interfere with the armistice supervisory mission. These nations perceived the R.O.K. as the “enemy” and North Korea as the “ally.” Therefore;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the idea of a general election monitored by communist “neutrals” was unacceptable to the R.O.K government.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