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탈북여성의 제3국 출생 자녀양육에 대한 교회공동체의 관심을 촉구하며, 교회가 탈북자 가정의 자녀양육 지원 사역과 관련하여 사회적 공동체로서의 선교적 역할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탈북여성의 제3국 출생자녀 현 황과 양육문제 발생요인을 분석하고, 탈북여성의 자녀양육 지원 을 위한 한국 사회의 노력을 검토하여 한국교회가 탈북여성의 자 녀양육을 위한 사역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탈북여성의 제3국 출생자녀 양육문제는 한국사회·문화 부적응 요인, 정신건강 요인, 경제적 요인, 정부지원정책 요인, 제3국 출 생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부적응 요인, 사회구조적 요인 등으로 다양하다. 북한 출생 탈북청소년 수보다 증가하고 있는 제3국 출 생 탈북청소년 문제와 관련하여 교회의 사명의식과 참여도가 낮 고, 사역의 심화와 전문성 측면 등에서 한계가 있다. 탈북여성들과 제3국 출생 자녀들이 한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 착하고 사회의 책임적 존재가 될 수 있도록 한국교회가 인식을 바꾸고, 관련사역에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것은 ‘건강한 가 정 회복 지원’, ‘성경적 어머니 정체성 확립 및 역할 지원’, ‘문화 및 가정교육’, ‘자녀의 정체성확립: 개인의 존엄성과 공동체성’, ‘교회와 사회의 지원 관계 구축’등이다.
This paper called for the church community’s interest in North Korean defector women raising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and discussed how the church can realize its missionary role as a social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support ministry. For this,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s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and the causes of child-rearing problems, reviewed Korean society’s efforts to sup- port North Korean defector women’s child rearing, and proposed a missionary plan for Korean churches to support the women. The child-rearing problems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for their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are caused from various factors such as maladjustment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mental health problem, economic difficulties, limitation of governmental support policy, and social structural barriers. The low level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Korean churches, and limi- tations of expertise in ministry in relation to the issue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h born in third countries, which is rapidly increasing more than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h born in North Korea are revealed. Korean churches must change their perception and play a role in related ministries so that North Korean defector women and their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can settle stably in Korean society and become responsible members of society. These are the ‘support for healthy family recovery’, ‘establishment of bib- lical mother identity and role support’, ‘culture and family edu- cation’, ‘establishing a child’s identity: individual dignity and community’, ‘building supportive relationships between church and society’.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