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에 열린 중국공산당 제20차대회에서 시진핑이 그 동안의 관례를 깨고 세 번째 임기를 시작하면서 일인에 의한 장기집권체제가 막을 열었다. 공산당 일당독재체제에서 일인지배가 유지되는 원인에 대해 대부분의 기존연구들은 정치엘리트적인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이 글은 공산당 일당독재체제에서 나타나고 있는 개인독재 혹은 일인지배를 정치엘리트적인 접근방식을 통해 이해하려는 기존의 연구경향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대안으로 중국에서 일인지배가 지속되고 있는 현상을 정치사상적인 접근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의 역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일인지배를 유형화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중국의 일인지배를 정치엘리트적인 관점에서 분석해 온 기존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3장에서는 역사적으로 중국의 일인지배에 담긴 사상적인 배경을 살펴보고, 4장에서는 중국의 일인지배를 전통주의, 전체주의, 권위주의, 조합주의, 현능주의 등 크게 다섯 가지 형태의 이념형으로 유형화하여 살펴본다. 5장 결론에서는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중국의 일인지배가 변화하게 될 방향을 전망한다.
At the 20th Congres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eld in 2022, Xi Jinping broke the custom and started his third term. Existing studies are analyzing the causes of the personalist rule in the one-party dictatorship through the political elite approach. But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existing research trends, that is, the political elite approach to understand persistence of the personalist rule in the one-party dictatorship. As an alternative, this paper examines the continued personalist rule in Chinese history through political thoughts, and based on this analysis, it categorizes the personalist rule that appears repeatedly in Chinese history. To this end, Chapter 2 critically analyzes the political elite approach in studying Chinese personalist rule. Chapter 3 examines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Chinese personalist rule historically, and Chapter 4 categorizes China’s personalist rule into five major ideological types: traditionalism, totalitarianism, authoritarianism, corporatism, and meritoracy. The conclusion of Chapter 5 predicts the future direction of change in Chinese personalist rule based on this analysis.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