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해방 직후 황해도 신천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기독교계의 대응

Socio-economic Changes in North Korea and the Response of the Christian Community, 1945~1949: A Case Study of Sincheongun, Hwanghae Province

상세내역
저자 한모니까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발행기관 (재)한국교회사연구소
학술지 교회사연구
권호사항 (5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45-183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황해도 신천 사건   #기독교   #왕재덕   #이계천   #한국전쟁   #38선 충돌   #구천우   #김익두   #한모니까
조회수 82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은 해방 직후 북한 지방 사회의 변화와 기독교계의 대응을 황해도 신천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살피는 연구이다. 북한 지역사와 교회사의 상호절충 보완을 시도하는 연구이기도 하다. 해방 직후 신천의 기독교계는 토지개혁이라는 경제적인 문제보다는 정치적인 이슈를 중심으로 움직였다. 이는 당시 토지개혁이 대지주층을 기반으로 한 남북한의 정당사회단체조차도 부인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였는데 기독교계도 예외가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반면 모스크바삼상회의 결과를 둘러싸고 신탁통치 파동이 전개될 때 개신교계 특히 장로교 측은 노골적으로 이승만과 김구에 대한 지지를 드러냈다. 소련군과 북한 당국은 기독교도연맹 창설을 통해 개신교회를 정권에 우호적인 조직 하에 망라했다. 반면 노골적인 반공주의를 보이지 않았던 천주교회에 대해서는 교회 활동을 대체로 인정하면서 포섭하고자 했다. 1946년 10월 기독교도연맹 창설 이후 1948년경까지 신천의 기독교계와 북한 정권은 외형상 우호적인 긴장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한계는 곧 드러났다. 북한은 기독교계를 지속적으로 의심, 적발, 처단했다. 특히 1949년 38선 군사 충돌이 격화되었을 때 북한에서는 정치범이 양산되었고, 교회가 일차적인 억압 대상이 되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