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 광물자원 교류를 위한 GIS 기반의 북한 교통 인프라 네트워크 분석

GIS-based Network Analysis of North Korea’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for the Trade of Mineral Resources in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김성민, 서장원, 오명찬, 양아란, 송재준
소속 및 직함 강원대학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자원공학회
학술지 한국자원공학회지
권호사항 57(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pp.159~167
발행 시기 2020년
키워드 #김성민   # 서장원   # 오명찬   # 양아란   # 송재준   # 북한 광물자원   # 지리정보시스템   # 교통 인프라   # 네트워크 분석
조회수 102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북한과의 광물자원 교류를 대비하여 북한의 광산 및 교통 인프라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연결 관계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자료를 통합하여 광산 및 교통 인프라에 대한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국내 산업 수요가 높은 광물을 대상으로 주요 광산-교통인프라의 연결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광산에서 가장 가까운 항만 및 철도 연결부까지의 최적 경로를 분석한 결과, 도로를 통해 광산물이 철도로 접근한 후에 항만 등의 시설로 운송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Location-allocation 분석을 통해 남북 철도 연결부 및 항만의 광산 접근성을 평가했을 때에는 서부의 광산들은 주로 송림항에서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동부의 광산은 단천항, 원산항, 청진항으로 나뉘어 연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order to trade mineral resources with North Korea in the future,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ines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s in the country, evaluating their relationships.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base of the mines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s was built from a variety of data, and a connectivity analysis of minerals with high domestic demand was conducted. The optimal route connecting the mine to the nearest port and railway junc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analysis revealed that mineral resources can be transported to facilities (e.g., ports) after accessing the railway through the road. The accessibilities of the railway junctions and of the ports were evaluated, confirming that the mine to the west has a good connectivity with the Songlim Port, while the mine to the east can be connected to the Dancheon, Wonsan, and Chongjin ports.
목차
Abstract
요약
서론
연구지역 및 데이터
연구방법
연구결과 및 토의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