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표준강수증발산량지수를 이용한 북한지역 과거와 미래 가뭄 평가

An Assessment of Past and Future Droughts in North Korea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상세내역
저자 김진혁, 이석호, 김병식
소속 및 직함 강원대학교
발행기관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학술지 Crisisonomy
권호사항 14(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39-151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가뭄   #SPI   #SPEI   #RCP 8.5   #잠재증발산량   #북한   #김진혁   #이석호   #김병식
조회수 6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기존의 가뭄분석 연구는 강수량만을 사용하는 표준강우지수(SPI)를 이용한다. 하지만 표준강우지수(SPI)는 가뭄분석에 있어서 가뭄 인자를 강수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기후변동성으로 인한 강수, 증발산량 등의 물 수지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뭄분석에 있어서강수뿐만이 아닌 증발산량을 고려할 수 있는 표준강수증발산량지수(SPEI)를 사용하여 북한지역의 가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1981년부터 2016년까지의 기상 관측치를 사용하여 현재 북한 가뭄분석을 통해 표준강수 증발산량 지수의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IPCC AR5의 RCP기후변화 시나리오 중 가장 기후변화에 극심한 영향을 받는 RCP8.5 시나리오를 통해 모의된 미래강수 및 기온자료(2011~2100년)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가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미래로 갈수록 강수량이 증가하나, 기온 상승으로 인한 증발산의 증가로 인해 가뭄의 심도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