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남북한 행복공동체 실현을 위한 통일교육의 의미론적 접근

Exploring the Semantic Approach to Unification Education for the Realization of Happiness Community in North and South Korea

상세내역
저자 김종두
소속 및 직함 서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지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권호사항 12(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05-211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남북한   #통일   #통일교육   #행복공동체   #통일역량   #김종두
조회수 60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분단된 현실 속에서 새로운 신 냉전체제로 이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적 상황에서 남북한이 행복한 민족공동체를 유지할 수 있는 토대로서, 현재의 통일교육에 대한 접근방식에서 변화된 의미론적 접근방식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현재의 이념체제와 경제의 강조는 통일교육을 형식적이면서 동질감을 강화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이질감을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는 측면도 있으므로학교의 통일교육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둘째, 통일교육은 수평적 성향을 띠는‘통일이 왜 필요한가?’라는 접근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통일교육은 왜 하여야 하는가? 에 대한 물음에서부터 출발한 접근방식은 체제우월성을 통한 수직적 관계를 강조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셋째,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통일교육을 통한 민족적우월감과 자부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교육이 지속되어 통일로 이어져야 한다. 넷째, 민족적 동질감 강화와 협력을 통한 경제성장과 기술개발로 성장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서 접근방식의 변화를 경쟁보다는협력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