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히로시마현 조선인 피폭자 협의회’의 결성과 원수폭 금지운동

The Formation of ‘Hiroshima Prefecture Korean Victims of an Atomic Air Raid Council’ and a Nuclear Bomb Ban Campaign

상세내역
저자 양동숙
소속 및 직함 한양대학교
발행기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학술지 기억과 전망
권호사항 (38)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06-254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히로시마현 조선인 피폭자 협의회   #원수폭 금지 운동   #재일 조선인 원폭 피해자   #북한 원폭 피해자   #이실근   #양동숙
조회수 79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히로시마현 조선인 피폭자 협의회’의 결성과 활동을 일본의원수폭 금지 운동과 관련시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전후 히로시마 조선인 피폭자가가 어떤 시대적 상황에서 ‘피폭자 구제’와 ‘핵무기 폐기’라는 활동을 할 수 있었는지그 맥락을 구명하는 것이다. 1975년 8월 2일, 재일 조선인 최초의 원폭 피해자 운동단체로 조직된 조피협의결성 배경에는 1950~1970년대를 거치면서 보다 열악해진 조선인의 삶의 변화와일본 사회의 강한 배외주의, 그리고 1955년 이후 히로시마에서 고조된 원수폭 금지운동과 1960~1970년대 손진두 수첩재판을 통해 각성된 일본 시민단체의 식민지배와 전쟁 책임에 대한 가해성의 자각이 있었다. 조피협은 결성 후 피폭자 구조와 핵무기 폐기라는 원수폭 금지운동의 목표를 공유하며 활동을 전개했다. 이들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전쟁 책임을 물으며 조선인피폭자의 실태를 밝혀 조선인 피폭자 운동을 처음으로 전 세계 반핵·평화운동 안에 자리매김했다. 또한 일본과 국교가 없다는 이유에서 어떠한 피폭자 지원도 받지 못하고 있는 북한 피폭자의 원호 문제까지 포괄하며 지원 활동을 전개했다. 조피협의 활동은 전후 일본의 다양한 법적 제약 하에서 작동되던 조선인 피폭자실천 구조의 난제를 폭로하는 동시에 그것을 전 세계 시민과 함께 원수폭 금지운동으로 해결해가며 민주주의의 성과를 수호한 활동이었다. 또한 “어떠한 나라”의핵무기도 거부한다는 원수폭 금지 운동의 원칙을 조선인 피폭자의 입장에서 철저히 지킨 활동이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