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의 문화 간 감수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화 간 감수성 관련 교육에 참고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B학교에 재학 중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그들의 문화 간 감수성을 탐구하였고 연구결과는 첫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은 문화 간 감수성의 다섯 가지 요인 중 네 가지(상호작용 참여와 문화차이의 존중, 상호작용의 향유와 상호작용 주의)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고 둘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의 문화 간 감수성, 특히 상호작용의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 다른 문화권과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다. 추후 더 큰 규모의 대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문화 간 감수성에 대해 보다 더욱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분석과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North KoreanDefector Youth and Teenagers Born in Third Countries:Focused on B School StudentsXiaoqing Zh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it as a reference for inter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through analysis and research on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h and teenagers born in third countries. To this end, we explored intercultural sensibilities through a survey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h and teenagers born in third countries attending in B school, a alternative school. First of all, North Korean defector youth and teenagers born in third countries have generally positive attitudes in four of the five factor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interaction participation,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taste for interaction, interaction caution), and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kills of communicating with other cultures to enhance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eenagers born in third countries, especially the confidence of interaction. We would like to conduct a more specific and in-depth analysis and study of their intercultural sensibilities through further study of larger objects.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