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정책과남북 교회 교류 전망

The Perspective of Foreign Policy of North Korea and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Churches in Kim Jong-Un Era

상세내역
저자 고영은
소속 및 직함 영남신학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실천신학회
학술지 신학과 실천
권호사항 (63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13-635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남북교회 교류   #김정은 대외정책   #한반도 평화   #교회 협력   #평화주의   #고영은
조회수 34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최근에 들어서 북한 핵과 미사일 문제로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 정세가 요동을 치고 있다. 북한의 비핵화 상황 전개에 따라 남북 관계 및 교회 교류는 지금까지와는 달리 새롭고 급격한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한반도 문제가 급변하게 된 변화의 추동 배경을 살펴보면 북한의 대외 정책 결정이 주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그동안 북한이 취해왔던 기존의 대외정책 노선에서 벗어나 김정은 시대의 새로운 노선을 취하고 있는 것이 향후 북한이 남북 관계 및 국제 관계에서 중요한 변환 의도를 시사해 주고 있다는 점에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북한 사회의 변화를 추동하고 있는 대외정책 의사 결정 구조와 동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토대로 남북 관계 및 남북 교회 교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동안 남북 관계에서 커다란 장애물이었던 북한 핵과 미사일 문제 해결에 따라서 향후 동북아 정세 및 남북 관계 역시 급격한 변화가 예상된다. 이러한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 속에 처한 한국 교회는 현실주의적 평화 신학의 관점에서 한반도에서 교회는 교회의 역할과 사명에 대해 다시금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국 교회가 한반도 현실적 상황에서 평화적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평화에 대한 유토피아적 접근보다는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현실주의적 관점은 과거 독일 교회들이 취했던 신학적 방법이기도 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라인홀드 니버의 정치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오늘 분단 상황 가운데 서 있는 한국 교회 역할과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우리는 극단적으로 불평등한 현실 속에서 평화를 실천하고 사회 변화를 추구했던 마틴 루터 킹의 신학과 신앙의 의미를 오늘날 한반도 현실에 맞춰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과거 동서독 교회가 서로 다른 체제임에도 불구하고 교회 교류와 협력을 통해 교회의 사회 공공성을 실현하고자 했던 교회 역할을 한국 교회는 분명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남북 교회가 평화적 교류를 통해 통일과 평화에 대한 교회의 사회 공공성의 의미와 역할을 살펴보는 그 목적으로 삼는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