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유신정권기 영화 〈특별수사본부〉 시리즈에 재현된 간첩담론: 텍스트의 전략적 특징을 중심으로

The spy discourse represented in the series of films 〈Speci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in Yooshin regime: Focusing on the strategic features of text

상세내역
저자 김대근
소속 및 직함 신한대학교
발행기관 인문콘텐츠학회
학술지 인문콘텐츠
권호사항 58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pp.141~161
발행 시기 2020년
키워드 #박정희   #간첩   #담론   #1970년대   #한국영화   #김대근
조회수 10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은 1973년부터 1975년 사이에 제작된 영화 〈특별수사본부〉 시리즈를 권력의 지배담론 전파라는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영화가 제작된 당시는 북한과의 체제경쟁이 가속화되는 시기였고, 장기집권을 위한 10월 유신이 선언된 직후였다. 집권 초기부터 영화의 정치적 중요성을 인식한 박정희는 1973년 영화법을 개정하게 되는데, 그 결과 영화는 국가의 지배담론을 전파하는 도구로 쓰이기 시작했다. 특히 영화 소재로서의 간첩은 당시 권력에게 매력적인 소재였다. 휴전선 이북의 보이지 않는 적과는 달리 간첩은 우리의 일상에 존재한다는 이유 때문에 위기를 일상화하고 통제의 정당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권력의 요구에 따라 〈특별수사본부 기생 김소산〉(1973), 〈특별수사본부 제2탄 여대생 이난희사건〉(1973), 〈특별수사본부 배태옥 사건〉(1974), 〈특별수사본부 김수임의 일생〉(1974), 〈특별수사본부 외팔이 김종원〉(1975) 등의 간첩영화가 만들어졌다. 이 5편의 영화를 당대 권력이 만들어낸 지배담론으로 규정하고 그 안에 담겨 있는 권력의지를 밝혀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러한 인식 아래 담론이 형성된 당대의 정치적 상황과 영화제도, 사회적 맥락에 대한 탐구를 실시하였고, 간첩담론 텍스트 내부에 존재하는 대중적 수용 전략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결국 당시의 간첩영화에는 “간첩 존재에 대한 일상화 전략”, “여간첩 캐릭터의 스펙터클 전략”, “신파성을 통한 대중 흡수 전략”, “반공을 통한 배제와 수용의 전략”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당시 형성된 이러한 담론은 축적과 전승의 과정을 거쳐 아직 우리의 기억에 남아있고, 냉전논리는 여전히 위력을 가지고 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series of films 〈Speci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produced between 1973 and 1975 from the perspective of spreading the dominant discourse of power. The film was produced at the time when competition for the regime with North Korea accelerated, and just after the October Yushin for the presidential life system was declared. Park Chung-hee, who recognized the political importance of films from the early days of power, revised the Film Act in 1973. As a result, films began to be used as a tool to spread the discourse of the state’s dominance. In particular, spy as a movie subject was an attractive subject to power at the time. This is because, unlike invisible enemies, spies exist in our daily lives, so they can normalize crises and provide justification for control. 〈Special Investigation Bureau : Kim So-San, the Kisaeng〉(1973), 〈A case of a college girl Lee Nan-Hee of Special Investigation Center〉(1973), 〈Special Investigation Bureau Bae Tae Ok Case〉(1974), 〈Special investigation headquarter A life of Miss Kim Su-Im〉(1974) and 〈A Special Investigator, One-Armed Kim Jong-Won〉(1975) were created in response to this demand of pow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se five films as the dominant discourse created by the powers of the time and to reveal the will of power contained in them. Under this recognition, an inquiry into the political situation, film system, and social context of the time surrounding the discourse was conducted. Later, the strategy for public acceptance that exists in the text of the spy discourse was described. Through this process, the spy films of the time included strategies such as “a strategy for everyday use of spies”, “a spectacle strategy of female spies”, “a strategy for mass absorption through Shinpa”, and “a strategy of exclusion and acceptance through anti-communism”. This discourse formed at the time remains in our memory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passed on, and the Cold War logic can still be found in terms of its power.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유신시기의 정치적 상황과 영화 〈특별수사본부〉 시리즈
Ⅲ. 영화법개정을 통한 지배담론의 확산
Ⅳ. 간첩담론 표현의 전략과 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