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해방기 최명익 소설의 지속과 전환, 소통과 거리두기- <마천령>을 중심으로

Sustenance, Conversion, Communication and Distancing during the Period of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zation Centered on <Macheonryong>

상세내역
저자 김효주
소속 및 직함 안동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학술지 한국문학논총
권호사항 (18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59-185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최명익   #마천령   #고상한 리얼리즘   #인텔리 의식   #모더니즘   #반제국주의   #김효주
조회수 50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은 해방기 최명익 소설에 나타난 모더니즘 창작 방법론의 지속과 전환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최명익 소설에 나타난 고상한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교직 양상과 소설사적 가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해방기 최명익 소설에 대한 접근은 해방 이전 창작한 모더니즘 작품의 연속선 위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모더니즘 경향을 지속하고 새로운 리얼리즘 요소를 반영한 작품 <마천령>에 초점을 맞추었다. <마천령>은 최명익의 자전적 요소가 반영된 작품이다. 여기에는 ‘인텔리 의식’ 때문에 비평가들에게 맹렬한 비난을 받은 최명익의 내적 고뇌가 담겨 있다. 또한 해방기 북한 정국이 제시한 ‘고상한 리얼리즘’의 수용과도 관련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해방 이전 모더니즘적 경향이 강한 <비오는 길>을 준거의 틀로 삼았다. <마천령>은 <비오는 길>로 대변되는 해방 전 모더니즘 소설의 창작방식과 태도를 계승하고 지속한 성격을 가진다. 아울러 <맥령>으로 대표되는 해방 후 고상한 리얼리즘의 창작방식과 태도를 참작하고 수용한 성격 역시 가지고 있다. 이 두 가지 측면이 <마천령>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존재하는지를 해명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