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 형성 과정 연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Wonsan-Mt. Kumgang international tourist zone: Based on actor-network theory

상세내역
저자 이수연
소속 및 직함 재단법인 인천테크노파크
발행기관 한국관광학회
학술지 관광학연구
권호사항 49(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77-97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경제개발구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이수연
조회수 50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경제개발구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북한 관광산업을 대표하는 원산에 위치한 경제개발구인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를 구성하는 행위자들과 이들 간 네트워크를 검토하여, 경제개발구가 새로운 산업 공간이자 향후 산업 발전의 확장성이 내재된 공간임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비인간행위자에게도 행위성을 부여하여 네트워크의 주체로 보는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을 활용하여관광산업 분야의 북한 경제개발구를 보다 면밀히 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원산의 자연환경과 관광자원은 경제개발구를구성하는 주요 행위자로써 경제개발구 조성 이전과 이후, 관광산업 활성화라는 북한의 경제 정책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식령 스키장 등 북한 관광산업의 대규모 인프라로 대변되는 북한의 중점 관광시설은 북한관광산업의 핵심이자 국가 권위를 제고하는 이중목표를 가진 행위자로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도자의언어는 이들 행위자에게 새로운 정체성과 역할을 부여하며 원산의 경제개발구화와 관광산업의 활성화에 일조하였다. 적은재원으로 국가의 경제적 수익을 올리고, 동시에 국가 권위를 제고하고자 하는 북한의 관광산업은 관광자원과 정책, 법과제도, 지도자의 언어 등 다양한 행위자들과 함께 고도화되어 경제개발구라는 네트워크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관점은 경제개발구를 제도적 측면에서 접근하였던 기존 인식을 넘어, 산업 공간으로써의 경제개발구의 등장과 역할에대하여 새로운 시사점을 준다. 그리고 경제개발구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의 재발견은 향후 북한에서 조성될 수 있는또 다른 관광산업 분야 경제개발구의 출현과 운영에 대해서도 예측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