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명
통일ㆍ북한 DB
연구보고서
학술자료
뉴스
단행본
기관/단체DB
기획사업자료
통일과나눔 기획사업
통일과나눔 연구사업
통일미래 준비사업
남북관계사
소개
아카이브 8000만 소개
현황
저작권 정책
통일과나눔
통일과미래
통일ㆍ북한 DB
연구보고서
국내
해외
학술자료
학술논문
학위논문
뉴스
단행본
정치/군사
통일/남북관계
경제/과학
사회/문화
지리/관광
법/인권
기관/단체DB
기획사업자료
통일과나눔 기획사업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청년통일축제 UniKorea Festival
교사 독일통일 현장 연수
행사·콘텐츠
통일과나눔 연구사업
통일학
북한학
남북통합정책
통일미래 준비사업
교육
컨퍼런스/포럼
공연/예술
영화/다큐
사회통합
기타
남북관계사
소개
아카이브 8000만 소개
현황
저작권 정책
통일ㆍ북한 DB
연구보고서
▼
국내
해외
학술자료
▼
학술논문
학위논문
뉴스
단행본
▼
정치/군사
통일/남북관계
경제/과학
사회/문화
지리/관광
법/인권
기관/단체DB
학술논문
공유하기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
URL 복사
HOME
통일ㆍ북한 DB
학술자료
학술논문
북한의 러시아 파병 이후 신흥안보 위협과 대응 모색
Seeking Responses to Emerging Security Threats in South Korea Following North Korea’s Dispatch of Troops to Russia
상세내역
저자
박국흠
소속 및 직함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발행기관
한국해군과학기술학회
학술지
한국해군과학기술학회지
권호사항
8(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49-155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신흥안보
#하이브리드전
#정보작전
#회색지대
#파병
#박국흠
조회수
43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최근의 신흥안보 위협을 내버려 두면 전통안보 분야의위기까지 촉발할 정도로 안보의 양상이 바뀌고 있다. 북한이 러시아 파병을 통해 러시아식 하이브리드전경험과 기술을 익히게 된다면 전통적 안보 위협과연계되어 한국에게는 실체적 위험으로 다가올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 파병 이후 북한의 위협과 도발 양상을예측해보고, 국가 차원에서 단계별로 군사적 수단과비군사적 수단의 주도적인 대응 모색이 필요한시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 더보기
목차
... 더보기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최근 북한의 지식재산권 발전전략과 상징성
이전글
북한의 1·21사태가 한국군 군사혁신에 미친 영향 연구
목록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