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북한의 민주선전실에 관한 연구 - 운영구조와 지도체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North Korea’s Propaganda Office during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 Focusing on the Structure of Operations and the System for Business -

상세내역
저자 김상범
소속 및 직함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학술지 군사
권호사항 (10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3-114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민주선전실   #민주선전실장   #선동원   #선전선동   #한국전쟁   #김일성   #조선로동당   #운영 구조   #사업체계   #김상범
조회수 49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전쟁기 북한이 체제 붕괴를 방지하고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농촌 지역 민주선전실의 운영구조와 사업체계를 통해 선전선동을 어떻게 이용하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북한은 중국인민해방군의 도움으로 이북 지역 재 수복 후 민주선전실을 중심으로 한 선전선동망을 개편, 확립을 정책의 우선목표로 설정하였다. 전쟁 전 비당원, 지역인사를 중심으로 주로 선거 및 오락 활동에 치중하던 민주선전실에 유급민주선전실장제를 도입, 열성 당원을 파견해 중앙당에서 직접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전환시켰다. 민주선전실의 효율적인 운영과 사업을 위해 실장, 부실장 및 선동원을 모두 당원으로 제한하고 그들의 선발과 교육을 직접 지역 도당 및 인민위원회에서 담당하였다. 북한은 당과 인민위원회의 민주선전실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와 감독, 민주선전실장과 부실장, 분실장 및 선동원들의 역량 제고를 통해 민주선전실 사업의 성과를 높이며 전쟁기 농촌지역 주민들을 김일성과 북한체제를 위한 일심단결된 투사로 만들기 시작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