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과 동북아시아 국가의 기술 수준과 상호의존 분석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n countries’ technology level and interdependence analysis

상세내역
저자 오종문
소속 및 직함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동북아경제학회
학술지 동북아경제연구
권호사항 29(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25-259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동북아시아   #북한   #기술 수준   #상호의존   #산업협력   #오종문
조회수 34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과 동북아시아 국가의 기술 수준과 상호의존의 변화를 분석하고 동북아시아 국가간 협력할 수 있는 산업을 도출 하는데 있다. 북한의 기술 수준은 중저위기술이 발전하다가 현재는 저위기술 수준을 유지하고있다. 남한의 기술 수준은 중저위기술에서 고위기술까지 발달해 있다. 중국의기술 수준은 저위기술과 고위기술이 발전하면서 산업 발전의 차이가 발생하고있다. 러시아는 중저위기술 수준에서 정체되어 있어 기술 개발 투자가 절실하다. 1990년대 북중 상호의존성은 남북, 북러 상호의존성 보다 높았다. 2000년대에는 남북 상호의존성이 북중, 북러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 상호의존성이 북중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은 북중 교역이 비대칭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2010년도에 남북한 교역이 중단되지 않고 개성공단이 폐쇄되지 않았다면, 북한은 남한에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비중이 중국보다 더 컸을것으로 보인다. 동북아시아 국가가 상호의존하기 좋은 산업은 화학섬유 산업으로 국가 간에 상호 보완하고 대체하면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북한에서섬유 산업이 가장 발전하면서 이와 관련된 가죽⋅모피 산업도 함께 협력하기좋은 산업으로 여겨진다. 또한 철강 산업은 동북아시아 국가들이 공통적으로비교우위에 있어서 상호 협력해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북한과 동북아시아국가들의 기술 수준별 상호의존을 높여 나가는 것은 동북아시아 공동체의 미래와 발전을 위한 투자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