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자본주의 미디어가 사회주의 국가의 주민들에게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동독과 북한비교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apitalist Media on Socialist Residents

상세내역
저자 안지호, 현주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한독사회과학회
학술지 한독사회과학논총
권호사항 27(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5-86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동독의 미디어   #서독의 미디어. 남한미디어 영상 유입   #북한과 동독 비교   #안지호   #현주
조회수 67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989년-1990년 사이에 독일통일의 창이 열렸던 골든타임에 동독 주민이 서독과의 평화로운 통일을 선택하는데, 서독의 방송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60년 시작된 동독과 서독의 시청률 경쟁은 1970년대에 본격화 되었다. 그러나 동독 정권의 기대와는 달리 동·서독 주민 모두가 동독의 방송을 외면하였으며, 서독보다는 동독이 상대국의 미디어 방송에 영향을 받게 되었다. 이렇듯 수세적 입장이 된 동독정권은 동독주민들의 서독방송 접촉을 통제하는 정책으로 전환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서독방송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동독주민들은 통일 전까지 동독의 미디어보다는 서독의 미디어의 선호하고 신뢰하였다. 결국 동독의 미디어 정책은 실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북한에서는 동독에 비해 시기적으로 늦은 1990년대 이후부터 남한의 미디어 영상물이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동독의 사례를 통해 서방언론의 효과를 학습한 북한정권은 남한의 미디어 유입을 철저하게 통제하고 있다. 그러나 고난의 행군 이후 성장한 장마당을 통해 북한내의 남한미디어의 유입은 접경지역의 북한 주민들에서 내륙으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독과 북한의 서방 미디어 유입의 과정과 정권의 대응, 효과를 분석하여 방송컨텐츠가 주민들의 정치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남북교류와 통일준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