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떠남’ 과정의 번역: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Translation of the Movement Proces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from the Viewpoint of Actor-Network Theory

상세내역
저자 엄태완
소속 및 직함 경남대학교
발행기관 인문사회 21
학술지 인문사회 21
권호사항 8(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87-102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북한이탈청소년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번역   #필수 통과지점   #엄태완
조회수 32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청소년의 탈북 과정의 인간/비인간 행위자 네트워크의 블랙박스를 해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인식론적, 방법론적 토대에서 진행되었으며, 연구참여자는 북한이탈청소년 남녀 4명이었다. 이연구에서의 구체적 도구는 Callon(1986)이 제시한 번역의 4단계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해체된 블랙박스에서의 필수통과지점(OPP)은 ‘브로커와 돈의 혼종적 결합체’임을확인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탈북 과정에 포함되었던 다른 인간/비인간 행위자들로부터점점 접근성이 약화되었으며, OPP인 브로커와 돈의 혼종적 결합체에 의해 모든 것이 통제되기 시작하였다. 결국 연구참여자들은 탈북 네트워크 속에서 인간 행위자인 브로커와비인간 행위자인 화폐가 전체 집단의 대변인이 되어가는 과정 속에 참여하고 있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