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은 통일에 비하는 환경에서 북한출물에 한 수용자의 인식을 악하는데 있다. Q방법론에 따라 24개의 진술문으로 Q표본을 구성하고 20명의 P표본을 통해 북한 출물에 한 수용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4개의 유형을 발견하다. 제1유형은 ‘정치와 교육의 수단형’이다. 이 유형은 북한출물이 당의 강력한 통제와 감독을 받으며, 북한의 사상과 교육 실태를 이해할 수 있는 도구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2유형은 ‘북한 이해의 도구형’이다. 이 유형은 북한 출물은 북한 반을 이해하는 도구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3유형은 ‘교류 와 력의 수단형’이다. 이 유형은 북한출물을 남북한 교류의 활성화에 필요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4유 형은 ‘서지학 인식형’이다. 이 유형은 북한출물을 서지학 으로 인식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출물에 한 인식을 유형화함으로 북한 출물과 련한 기자료를 제공할 것을 기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