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 벼 유전자원의 중부지역에서의 주요 농업 특성 비교

Comparison on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Rice Germplasm between Central Plain and Mid-Northern Plain in Korea

상세내역
저자 홍하철, 정국현, 원용재, 안억근, 현웅조, 양창인, 이상복, 김명기, 성열규
소속 및 직함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발행기관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학술지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권호사항 29(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33-438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rice   #North Korean varieties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milled rice yield   #locational difference   #홍하철   #정국현   #원용재   #안억근   #현웅조   #양창인   #이상복   #김명기   #성열규
조회수 3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에서 개발된 벼 유전자원들을 중부지역에서 재배하여 주요 농업적 특성을 분석하여 북한지역 적응 벼 신품종개발 연구에 유용한 유전자원으로 활용하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북한 벼 유전자원은 수원과 철원에서 7월 10일부터 8월 10일까지 분포하는 조생 및 준조생 자원이었다. 2. 북한 벼 유전자원들의 출수기는 두 지역 간에 유의한 차가 인정되었으며, 조생자원에서 철원이 수원보다 출수가 빨라지는 경향이었으나, 준조생 자원은 반대로 철원에서 출수가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3. 간장, 수장, 주당수수, 수당립수 및 등숙률은 두 지역 간에 고도의 유의한 차가 인정되었으며, 간장과 수장은 수원에서 철원보다 더 길었으며, 주당수수 및 수당립수는 수원이 많았고, 등숙률은 수원이 철원보다 높았다. 4. 현미천립중은 지역 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지역 x 품종의 교호작용은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정현비율과 ha당 백미수량은 지역간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정현비율은 철원이 높았고, ha당 백미수량은 수원이 많았다. 5. 북한 벼 유전자원들은 흰잎마름병 K2, K3, K3a 균주에 약한 특성을 보였고, 도열병밭못자리검정에서는 중이상의 저항성을 보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