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위기 유형과 매체 속성에 따른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2014년 국방부 대표 위기쟁점 분석

Considering Crisis and Media Types in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The Analysis of Four Major Crisis Issues of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 2014

상세내역
저자 박종민, 권구민, 조재형, 박진홍, 김필수
소속 및 직함 경희대학교
발행기관 사회과학연구원
학술지 사회과학연구
권호사항 42(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37-168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국방부   #위기관리   #복구전략   #축소전략   #부인전략   #범죄형위기   #부패형위기   #재난/테러형위기   #정책형위기   #박종민   #권구민   #조재형   #박진홍   #김필수
조회수 35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2014년 국방부의 대표적 위기쟁점(북한무인기, 방위산업비리, 병영문화혁신, 전시작전권 환수) 관련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대응전략을 세우고 있으며, 진보 및 보수 언론(신문, 방송)은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 가 살펴보았다. 더불어 이러한 위기쟁점들이 재난/테러형, 범죄형, 부패형, 정책형로 어떻게 분석되고 보도되는 가도 조사하였다. 국방부의 책임은 방산비리(부패형)>전작권환수(정책형)>병영문화혁신(범죄형)>북한무인기(재난/테러형) 순으로 높다고 국방부와 언론 모두 판단하고 있었다. 그러나 신문과 방송은 모두 주체의 책임성 여부에 크게 관계없이 단기간에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쟁점들을 더 많이 보도하고 있었다. 또한 보수언론에 비해 진보언론들이 위기쟁점에 대한 국방부와 정부의 책임을 강하게 질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방부는 범죄형-복구전략, 부패형-축소전략, 재난/테러형-부인전략, 정책형-부인전략 등 위기관리 교과서적인 대응전략을 진행하였고, 언론에도 이러한 전략이 그대로 투영되고 있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