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통일 이후 뷰티 프로보노(Pro bono)를 통한 나눔 문화 활성화 방안

After the unification of Beauty of sharing culture

상세내역
저자 표연희, 이영미
소속 및 직함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뷰티디자인 전공
발행기관 한국동양예술학회
학술지 동양예술
권호사항 (3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57-276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뷰티   #프로보노   #뷰티 프로보노   #통일   #뷰티 평생교육   #뷰티 마이스터 고등학교   #뷰티 창업   #표연희   #이영미
조회수 40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세계화 사회 속에서 아직까지 한국은 전쟁이란 범주 아래 자유롭지 못한 분단국으로 남아있다. 한국 사회에서 통일은 남북 민족 공동의 과제로 역사적 전통성, 동질성의 회복, 경제적 발전, 평화의 정착 등 통일에 대한 중요성과 이에 대한 가치는 이미 오래전부터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특히 통일 이후의 변화와 이에 대한 대비가 중요한 논제로 꾸준히 제기되고 있어 남·북한 상호간의 기술적 교류를 통한 이질적 문화의 완화가 필요하다. 이는 구성원들의 지속적인 교류와 공유, 상호간의 노력은 가치혼란과 사회균열의 통일국가 문제의 핵심과제가 될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뷰티라는 개인서비스 산업의 기술적 활용을 통해 지속적 교류 및 공유를 시도하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통일 이후 북한 국민을 위한 남한의 뷰티를 나누는 나눔 문화 활성화를 목적으로 재능기부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프로보노(Pro bono)를 통한 남, 북간 나눔 문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나눔 문화와 프로보노의 개념을 이해하여 프로보노 활동에 대한 다양한 사례 분석하였다. 실증적 연구로는 통일 이후 프로보노를 통한 나눔 문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기부 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프로보노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통일 이후 뷰티 프로보노를 통한 나눔 문화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복지, 창업, 교육의 세 영역의 분야로 세분화 하여 뷰티 평생교육 프로그램, 뷰티 마이스터 고등학교, 뷰티 창업 교육의 프로보노 활동을 제시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