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과 통일과정에서의 역할

The Adjustment of Korean Chinese and North Korean Refugees into Korean Society and Their Role in the Process of National Unification

상세내역
저자 김주삼
소속 및 직함 조선대학교
발행기관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학술지 디아스포라연구
권호사항 10(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91-319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조선족   #북한이탈주민   #다문화   #한국사회 정착과정   #통일동력   #김주삼
조회수 21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정착과정과남북관계변화 그리고 미래 통일과정에서 이들의 역할과 가치 등에 관한 것이다. 1992년 한중수교를 계기로 중국재외동포인 조선족은 한국으로의 유입이 급증하여 중국 조선족 사회가 점점 와해되는 현상을 보이면서 한국거주조선족은 약 80만 명에 이르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은 2000년 제1차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매년 1,000명 이상 한국행을 선택하여 현재 약 3만명이정착해 살고 있다. 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은 한국사회 정착과정에서 다문화와 한민족의 관계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민족적 공통점과문화차이에 따른 이질감도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글로벌시대의 한국사회는 다문화가정의 증가추세에서 이주민에 대한 정부정책과 관·민·학 등 실질적인 협력프로그램이 절실하다. 한국사회에서 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은 다문화범주에 중국동포,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일반성과특수성이 제기되는 바, 이들에 대한 정부정책과 한국인의 사회인식은 미래지향적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은 남북관계와 한중관계의 발전과 협력 이외에 미래 남북통일과정에서 북한의 개혁·개방과 국제사회 연착륙에 필요한 중재자와 동력자원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