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한국입국 전후의 삶의 경험의 의미를 Giorogi의 현상학적 분석을 토대로 밝혔다. 그 결과 총 326개의 의미단위와 24개의 하위경험요소, 10개의 경험요소 그리고 본질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중도입국한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가 경험한 한국전후 삶의 본질적인 의미는 ‘배려받지 못하고 홀로 버티는 삶’이었다. 제 3국에서의 경험은 ‘엄마가 없는 시간의 슬픔과 상처’였으며 한국 입국과정은 ‘제 3국 가족들의 반대에도 엄마를 찾아 한국에 옴’이었다. 한국 입국 후 경험의 의미는 ‘달라진 엄마, 달라진 환경 속에서 혼란과 갈등’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반영해 본 연구는 다음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먼저 어머니와의 관계와 낯선 환경 적응을 위한 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북한출신 어머니와 자녀들에 겪는 세대갈등 이상의 문화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부모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이들의 정서적 안정을 위하여 새로운 가족과의 소통과 제3국과의 가족과의 지속적 교류를 도와야 한다. 넷째, 단순한 언어습득이 아닌 문화차이를 고려한 효과적인 언어교육과 진로지도가 필요하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