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평양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태도: 『민족문화유산』에 나타난 평양 소재 문화재 기사를 중심으로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n Pyungyang of North Korea : Focused on the Articles of Cultural Heritage in Pyungyang Represented in 『Minjokmunhawyousan』

상세내역
저자 허선혜
소속 및 직함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서울연구원
학술지 서울도시연구
권호사항 17(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93-109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평양   #민족문화유산   #도시 인식과 태도   #문화재   #허선혜
조회수 29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 잡지 『민족문화유산』에 기술된 평양에 위치한 문화재의 특성과 역사인식을 분석하여 북한의 평양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는 세 가지 갈래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상원검은모루유적을 통해 대동강유역을 인류문명발상지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단군릉발굴을 통해 한반도 최초국가의 시조왕의 실재를 밝히고 이 일대를 크게 개건함으로써 평양이 북한의 중심일 뿐 아니라 인류의 발원이 이뤄진 성스러운 지역으로 인식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 이들을 연결하여 세계최초 고대국가가 발원한 세계5대 문명발상지 중 하나로 ‘대동강문화’를 주장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셋째, 고구려 고주몽의 무덤이 평양으로 옮겨왔고 그것이 현재 동명왕릉이라 주장하며 평양을 대대로 한민족의 역사적 계승지로서 정체성을 갖게 하였다. 도시 문화재에 대한 고찰은 도시연구의 내용을 다양하게 하여 도시인식과 태도에 관한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