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의 김일성-김정일 우상화 전략 및 특성 비교 연구: 지도자 우상화의 ‘신화적 사고’ 접근 유·무 비교분석을 중점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ategy of Idolization during the Kim Il Sung and Kim Jong Il Eras :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ythological Thinking

상세내역
저자 정교진
소속 및 직함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인문학연구원
학술지 통일인문학
권호사항 68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97-335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지도자상징정치   #지도자우상화   #신화적 사고   #탄생신화   #김일성 전설집   #김정일 전설집   #정교진
조회수 2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의 김일성, 김정일 우상화 전략 및 그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북한은 김일성, 김정일 시기에 상징정치, 특히 ‘지도자상징정치’를 강도 높게 시행했다. 그로인해, 김일성, 김정일 부자는 권력을 독점하고 향유하다가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3대 세습을 성공시켰다. 현재, 북한 김정은 정권도 ‘지도자상징정치’가 강도 높게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김일성, 김정일 시기와 비교해서 그 정도(강도)는 과연 어떨까? 북한의 유훈통치 속성상 일반적으로 김일성 시기를 가장 높게, 다음은 김정일, 그 다음은 김정은 시기 순으로 평가하기가 쉽다. 과연 그럴까? 이 질문으로부터 본 연구는 출발했다. 북한의 지도자상징정치는 지도자 우상화와 직결된다. 따라서 연구방식은 북한의 김일성-김정일 우상화 전략 및 그 특성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특히, 김일성-김정일 우상화에 있어 ‘신화적 사고’ 방법으로 접근했는지를 집중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다시 말해, 김일성-김정일을 신출귀몰한 초능력·초인간적인 인물로 묘사했는지 그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김일성원수님 어린시절』(1968),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선생님 어린시절』(1975)과 인민학교 국어교과서(1960년대~1990년대), 그리고 『김일성 전설집』(1987), 『김정일 전설집』(1996)을 주자료로 사용하였다. 결론부분에서 김정은 우상화와도 단순비교를 해보면서 김정은 우상화의 강도 및 김정은 정권의 지도자상징정치 현주소를 나름대로 제시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