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미국의 대테러전략의 전개와 전망

The Development and Prospects of the U.S. Counter-terrorism Strategies

상세내역
저자 이만종
소속 및 직함 호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테러학회
학술지 한국테러학회보
권호사항 9(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40-185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미국   #9·11테러   #대테러전략   #이슬람국가   #테러지원법   #국가안보   #이만종
조회수 1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은 미국의 대테러전략의 전개와 전망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테러리즘의 개념과 이슬람 폭력적 극단주의단체 IS의 출현, 9∙11테러이전과 직후 미국의 대테러전략의 전개, 오바마 행정부의 대테러전략, 향후 트럼프 행정부 미국의 대테러전의 전망과 대응을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미국의 대테러전략은 명확히 구분할 수 없지만, 테러양상의 변화와 함께 변해왔다. 제2차 세계대전이후 1945년 출범한 트루먼 행정부에서 오바마 행정부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대테러전략은 ①대게릴라전략(counter-insurgency)의 추진기(1945∼1968), ②테러행위의 국제문제로의 인식과 대테러전략 강화기(1969∼1980), ③대테러전의 개시기(1981∼1989), ④미 본토에 대한 테러 대응시기(1989∼2001), ⑤대테러전의 강화기(2001-2009), ⑥오사마 빈라덴 사살과 IS격멸 추진기(2011-현재)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의 오바마 정부는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제위기 및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전쟁이란 유제(遺題)를 안고 출범하여 미국패권의 과업은 줄이면서도 리더십은 유지하려는 패권의 ‘재건축’을 시도해왔다. 이러한 노력은 특히 새로운 대테러정책과 아프가니스탄 정책 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9․11테러이후 미국의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를 대상으로 한 대테러 전쟁과 관련해서 한국 정부는 지지와 파병을 결정했다. 현재 한국은 국외에서 이슬람 테러조직 등에 의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으며, 또한 국내에서도 북한 또는 이슬람 테러조직 등에 의한 테러범죄 위협이 존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북한이나 테러단체에 의한 테러에는 대비를 잘 해나가고 있으나 외로운 늑대 테러에 대해서는 아직 그 대비가 미흡한 형편이어서 대책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정부는 자조적이면서도 국제사회(특히 미국)와 공조하는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