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6·25전쟁에서 미국의 정치적 목적과 군사적 목표

Political Aim and Military Objective of the U.S. in the Korean War

상세내역
저자 김덕기
소속 및 직함 국방대학교
발행기관 육군군사연구소
학술지 군사연구
권호사항 (14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5-88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Civic Identity   #Ethnic Identity   #Citizenship   #Social Distance   #Dthnic Relations   #Social Impact of Immigration   #김석호, 박은선
조회수 1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2차 세계대전이 종료되고 미국과 소련은 각 국이 추구하는 이념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체제경쟁을 시작했다. 전후 미국의 자유 민주진영과 소련의 공산진영으로 양분된 세계는 곳곳에서 경쟁으로 대결 구도가 등장하였고 그렇게 냉전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반도에서도 냉전의 흐름이 반영되어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본 연구는 클라우제비츠가 주장했던 제한전쟁의 틀을 활용한 가운데, 6.25전쟁에서 미국의 정치적 목적과 군사적 목표를 분석하는 것이다. 수단론적 전쟁관의 입장에서 정치적 목적과 군사적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은 전쟁수행 당시의 정책 결정자들의 결정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며 전쟁 전반을 이해할 수 있는 길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1950년 당시 미국의 입장에서 볼 때, 한국의 중요성은 아시아에서 그다지 높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하지만 6.25전쟁이 발발하고 미국은 즉각적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신속히 군사력을 투입하여 전쟁에 개입하였다. 이후 한반도에서 북한군과 치열하게 전투를 벌이고 중공군이 개입하면서 북진과 후퇴를 반복하면서 전쟁을 종전으로 이끌게 된다. 클라우제비츠의 제한전 사상에 비추어 본 결과 미국의 정치적 목적은 한반도의 전쟁으로 인해 세계 3차 대전으로 확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시아에서의 미국의 영향력을 확고히 하여 자유 민주진영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른 군사적인 목표는 최초의 목적이었던 전쟁 이전의 상태를 회복하는 것에서 한반도의 무력 통일, 다시금 휴전으로 변경됨을 알 수 있다. 결국 정치적인 목적은 전쟁 전반에 걸쳐 유지되고 있었으며 군사적인 목표는 전황에 따라서 확대와 축소를 반복했던 것을 알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