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과학의 현장성과 소련의 영향 -현장중심의 과학담론과 주제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The On-Site of Science in North Korea Science Fiction and Influence of Soviet Union -Focused on ‘on-site science’ and theme in North Korea Science Fiction-

상세내역
저자 서동수
소속 및 직함 상지대학교
발행기관 우리어문학회
학술지 우리어문연구
권호사항 (5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93-420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한   #과학환상문학   #소련   #과학담론   #현지연구사업   #서동수
조회수 21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고의 목적은 북한과학환상문학의 형성과정에서 소련의 과학담론이 미친 영향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해방 이후 소련의 과학담론과 정책이 북한 과학계와 과학환상문학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특히 소련의 과학담론과 정책이 어떻게 북한 과학계에 수용되고, 이러한 흐름들이 과학환상문학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북한 과학환상문학은 소련의 과학소설과 과학담론을 모방하는 과정에서 시작되었다. 소련이 보여준 과학의 중요성과 위력은 이제 막 국가의 모습을 갖춘 북한으로서는 당연히 모방해야 할 아비의 모습이었다. 소련의 과학담론과 정책들은 북한사회뿐만 아니라 북한 과학환상문학의 형성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실재로 소련의 과학담론과 정책들은 북한의 과학뿐만 아니라 과학환상문학의 소재, 주제, 과학의 존재론 등에도 깊숙이 영향을 미쳤다. 특히 오늘까지도 흔들리지 않는 ‘과학의 현장성’도 소련의 영향에서 비롯되었다. 그래서 과학의 현장중심 강조는 북한과학환상문학의 대주제가 되었다. 작품 속 과학기술은 식량문제나 질병문제를 해결하는 등 항상 실생활과의 연계성을 지니는 것으로 등장한다. 이러한 소련과학의 현장성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모티프는 세 가지이다. 첫째, 자동화와 기계화를 통한 노동의 최소화, 둘째 물질적 풍요를 통한 유토피아의 건설, 셋째 소련아동을 모방하는 북한의 아동들이다. 이처럼 소련의 과학담론과 문학은 북한의 과학환상문학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목차